
개체검정일 성적표
금회 유량이 타당한지 어떤지는 비유단계를 보아 유량이 합당한지를 본다. 즉 분만 후 약 2개월째를 비유 피크로 하는 비유곡선을 고려한다.
예를들면 분만후 일수(착유일수)가 비유피크에 도달되지 않았는데도 전기검정일 유량보다 적으면 당기 검정유량은 문제가 있는 것이 된다.
전기검정일 유량보다 당기 검정일 유량이 특정기준을 밑도는 개체에 대해 [*▽▼]의 기호가 붙는다.
최고 비유량을 내기 위해서는 피크기가 상당기간 지속되는 것이 필요하다.
피크기에서 착유일수 60일 이내 감소하는 개체에 대해 *기호가 표시되는데 * 표시가 없는 것이 좋다.
비유 피크기를 지나 지속성이 요구되는데 전월유량보다 10-20%와 21%이상 감소할 경우 각각 ▽▲기호를 표시하게 된다.
[최고유량]은 한 유기에서 최고의 유량치를 나타내고 통상 분만후 2-3회 입회시의 유량인데 개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도 있다.
유성분율은 유대에도 크게 영향을 주고 또한 축주 자신의 사양기술 수준 추정에도 도움이 된다.
유성분율 앞에 [*▽▼]의 기호가 붙어 있지 않는지 확인한다. 이 기호가 붙어 있지 않는 것이 좋다.
유지방 | * 3.3% 이하 | ▽ 전월대비 0.5-0.9% 감소 | ▼ 전월대비 1.0% 이상 감소 |
단백질 | * 2.8% 이하 | ▽ 전월대비 0.3-0.4% 감소 | ▼ 전월대비 0.5% 이상 감소 |
무지고형분 | * 8.3% 이하 | ▽ 전월대비 0.5-0.9% 감소 | ▼ 전월대비 1.0% 이상 감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