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군검정성적표
우유를 생산하는데 최대 지출비용은 사료값이다. 1년동안 생산한 유량과 농가에서 급여한 총사료량을 가지고 유사비, 사료효과등을 계산한다.
검정당일의 성적, 최근 3개월 및 지난 1년간의 1일 평균성적이 제시되어 있다.
3단이 각각의 수치를 비교하여 유량 또는 유성분, 유대, 사료량 등이 당일과 3개월전과 1년전의 성적을 비교하여 증가하고 있는지 감소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월별로 유량, 유성분%, 농후사료량의 변화추이를 나타내고 있다.
전월 검정일부터 거슬러 올라간 과거 1년간 성적임.
과거 1년간의 성적변화에 의거 우군의 산유량 변화 추이와 유성분이 상승되는지, 또는 하양추세인지를 알 수가 있다.
자기 농가의 성적평균과 그 지역의 검정소 평균과 전국평균과를 비교 하여 내가 사육하는 소의 수준이 다른 농가에 비해 어느 정도인지를 알 수 있도록 하였다.
연간성적은 다음과 같은 요인에 의해서 변화되기 쉽다. 연간 유량의 향상을 위해서는 매월의 유량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번식효율, 사양관 리, 우군의 갱신등도 중요한 요인이 된다.
초산과 2산 이상을 구분하여 유량수준별 두수분포와 검정일수별 두수분포상황을 제시하였다.
년간 추가두수와 제적두수를 사유별로 분류하였고, 1산과 2산 이상으로 산차별 분류를 하였다. 제적사유별로 수치변화를 면밀히 파악하여 어떤 원인으로 제적되었는지, 우군 별 사양관리 및 개체별로 중점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수정보고에 기초해서 분만예정두수를 나타내고 있다. (임신확인 70일 기준, 임신기간 280일 기준)
윗란 두수는 2산 이상, 아래 란의 괄호 안은 초산(미경산우 포함)의 예정두수 정확한 수정사항 보고가 신뢰할 수 있는 기록을 만들어 낸다.
검정당일 우군의 산차별 평균연령, 두수 및 비율을 제시하였다. 축주가 판단한 농가소득을 가장 크게 할 수 있는 우군 구성이 산차구성과 평균연령이다. 이것은 초산월령, 평균분만간격, 공태일수등 과도 밀접한 연관을 갖고 있다.
전국평균(97년) | 1산 | 2산 | 3산 | 4산 | 5산 |
2.6산 | 35% | 25% | 18% | 10% | 11% |